2019년 3.0T MRI 국내 최초 도입 … “진단 정확성-치료 적기성 높여”
CT로 확인 불가한 턱관절 질환 원인 규명 … 정밀 진단 능력도 향상
연세대치과병원(병원장 정영수)이 치과병원 전용 3.0T MRI(자기공명영상장치) 도입으로 턱관절, 구강암 등의 진단정확도를 높이고, 적기 치료로 치료 효과 또한 개선시켰다.
치과병원 영상치의학과 교수팀(한상선, 전국진, 이채나, 최윤주)은 지난 8일 “MRI 도입 후 4,000례 이상 증례를 바탕으로 정량화된 진단 지표와 진단기법 개발 등을 통해 진단능력을 향상시켰다”고 밝혔다.
치과분야서 MRI는 최근 증가하는 턱 디스크와 구강암 외에도 턱관절 질환으로 잘못 진단할 수 있는 악골 종양 등을 조기에 진단할 수 있다. 특히 턱관절 디스크 진단은 MRI 영상이 절대적이지만, 국내 치과병원 중 자체 MRI 장비 보유병원은 흔치 않다.
영상치의학과 연구팀은 턱관절 질환 등에 치과용 CT(CBCT)로 확인할 수 없던 증상들을 MRI 영상으로 진단 가능함을 입증하기도 했다.
이와 관련된 연구는 국제학술지 ‘의료 및 외과에서의 정량적 이미지, IF 4.63’에 발표됐다.
연구팀은 턱관절 질환 환자 377명의 CBCT 영상과 MRI 영상을 비교 분석했다. 연구 결과 CBCT서 설명할 수 없었던 턱관절 증상들을 MRI 영상서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연구팀은 정확한 진단을 위해 침샘 질환과 턱관절 질환 등에 활용 가능한 객관적이고 정량화된 진단 지표를 개발했다.
기존엔 턱관절 질환 환자의 아래턱 머리부위인 하악과두의 골수 변화를 진단하기 위해서는 MRI 영상의 신호 밝기를 이용했다. 그러나 촬영 장비, 조건 등에 따라 진단의 차이가 발생할 수 있어, 연구팀은 ‘지방분율 측정’으로 진단 지표를 정량화했다.
그 결과 턱관절 질환이 있는 사람의 하악과두가 질환이 없는 사람보다 골수의 지방분율이 평균 17.73% 낮게 나타났다. 또한 턱관절 질환자 중 통증이 있는 하악과두의 경우 통증이 없는 경우 대비 지방분율이 8.58% 낮았고, 골변화가 있는 경우 골변화가 없는 경우보다 14.08% 낮은 것으로 확인됐다.
이외에도 연구팀은 치과에 특화된 영상기법에 대한 연구를 통해 새로운 진단방법 등을 찾아내고 있다.
한상선 교수는 “새로운 영상기법과 정량화된 측정 지표 등의 개발로 MRI 결과를 정밀하게 측정할 수 있게 됐다”며 “CT촬영과 달리 환자에게 방사선 노출이 없는 MRI를 통해 더욱 정확한 진단이 가능하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