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영단-W.Giannobile 교수 공동연구팀 연구결과 발표
연구결과 임상적용으로 임플란트 치료기간 크게 단축 가능
국제학술지 ‘Advanced Materials Interfaces’ 6월호 게재
서울대치과병원 조영단 교수(치주과)와 미국 하버드치과대학 William.V.Giannobile 교수 연구팀이 ‘치과 임플란트 표면 Bone Morphogenetic Protein(BMP. 뼈형성단백질) 유전자 고정기법’을 제시하였다.
유전자 고정기법은 골 재생증진으로 임플란트 치료시간을 획기적으로 단축시킬 수 있는 방안이다.
이번 연구는 미국 국립보건원과 스위스 오스테올로지 연구재단 연구비를 지원 받아 진행됐다. 연구 결과는 치과재료 분야서 저명한 국제학술지로 꼽히는 ‘Advanced Materials Interfaces’ 6월호에 게재됐다.
공동연구팀은 임플란트 티타늄 표면에 CVD(Chemical Vapor Deposition) 기술을 이용하여, BMP7 유전자를 고정해 세포실험과 쥐의 임플란트 모델서 실험했다. 실험 결과 BMP7 유전자 코팅 티타늄의 표면서 BMP7 단백질이 안정적으로 생산되는 것을 입증하였다.
또한 이를 통해 조골세포의 분화가 증진되고 골 재생 능력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조영단 교수는 “현재 가장 많이 사용되는 티타늄 SLA 표면에 가장 안정적으로 뼈가 붙기 위해서는 최소 3개월의 시간이 필요하다”며 “향후 이번 연구 임상적용을 통해 치아 없이 지내는 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조 교수는 “나아가 골이식재 등에도 BMP 유전자 고정방법을 응용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서양권 기자
gideon300@dentalfocus.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