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공료 체계화, 선진화된 모델 필요”

김춘길 서울시치과기공사회 명예회장(메디칼 치과기공소장)은 “치과기공사들의 미래를 보장하기 위해서 현재의 치과기공료 시스템을 바꿔야 한다”고 말했다.
치과기공료를 체계화해서 미래에 커오는 후배들을 위한 안정된 풍토를 만들어 줘야 하는데 대안이 없는 것이 김 회장의 가장 큰 고민이다.
치과기공료를 체계화한다는 것은 어려운 일이나 치과에서 건강보험공단에 진료비를 청구하는 현재의 방식을 개선해서 예를 들어 의약분업과 같은 새로운 모델을 만들어 줘야 한다는 말이다.
김 회장은 “치과기공료 체계화를 위한 위원회를 별도로 신설해야 한다”며 “현재의 기공료 시스템을 바꾸면 환자를 위해 보다 더 양질의 재료를 사용해서 국민보건윤리에 부합할 수 있다”는 견해를 밝혔다.
또 김 회장은 “기공료를 체계화하면 기업 형태의 대형치과기공소도 생길 수 있어서 의료시장 개방시 외국에 대응할 수 있는 경쟁력을 갖출 수 있다”고 말했다.
김 회장은 기공료를 환자에게 직접 받는 방식이 현재 시스템보다 더 투명성을 확보한 방법이며 정부에서 검토 중인 틀니보험화사업이 추진되면 일반보철도 이에 근거한 기준을 만들 수 있다고 설명했다.
김 회장은 “훌륭한 보철물을 제공하는 것을 직업적 만족으로 알고 있는 치과기공사들을 위해서 현실화된 기공료를 받을 수 있는 체계화된 대책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덴탈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