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공료 체계화, 선진화된 모델 필요”

치과기공료를 체계화해서 미래에 커오는 후배들을 위한 안정된 풍토를 만들어 줘야 하는데 대안이 없는 것이 김 회장의 가장 큰 고민이다.
치과기공료를 체계화한다는 것은 어려운 일이나 치과에서 건강보험공단에 진료비를 청구하는 현재의 방식을 개선해서 예를 들어 의약분업과 같은 새로운 모델을 만들어 줘야 한다는 말이다.
김 회장은 “치과기공료 체계화를 위한 위원회를 별도로 신설해야 한다”며 “현재의 기공료 시스템을 바꾸면 환자를 위해 보다 더 양질의 재료를 사용해서 국민보건윤리에 부합할 수 있다”는 견해를 밝혔다.
또 김 회장은 “기공료를 체계화하면 기업 형태의 대형치과기공소도 생길 수 있어서 의료시장 개방시 외국에 대응할 수 있는 경쟁력을 갖출 수 있다”고 말했다.
김 회장은 기공료를 환자에게 직접 받는 방식이 현재 시스템보다 더 투명성을 확보한 방법이며 정부에서 검토 중인 틀니보험화사업이 추진되면 일반보철도 이에 근거한 기준을 만들 수 있다고 설명했다.
김 회장은 “훌륭한 보철물을 제공하는 것을 직업적 만족으로 알고 있는 치과기공사들을 위해서 현실화된 기공료를 받을 수 있는 체계화된 대책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송현아 기자
sha@dentalfocus.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