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종우 (공학박사, 치과기공기재학회장, 신흥대학 교수)-
Non-Clasp의 대표적인 정밀적합의 코너스크로네 덴쳐 내외관 구조의 적합력의 작용 메커니즘을 살펴보면 외관은 내관 상으로 밀어 넣을 때 양측 접촉면에서 양쪽 치관은 저항력을 발생시키는 데 이 때 이 접촉면에서 적합면의 미세한 구조의 격자가 큰 힘에 의해 서로 압착되면서 유지력이 발생되면서 기능성을 보강한다. 코너스크로네 덴처를 장기간 사용 시 나타나는 문제점으로는 내외관 적합
그 이유를 살펴보면 실제적으로 발생되는 내외관의 마모도 차이는 primary part와 secondary part 사이의 마찰면이 얼마나 적합도 높게 정교하게 접촉하고 있는지 그 상태에 따라서 그 차이를 보여주고 있으며, 밀링기공과정을 아무리 정교하게 진행한다고 하여도 내관 표면 상태를 거울면과 같은 활택한 상태로 마무리 하기에는 한계가 때문이다. 이처럼 코너스크로네 덴처가 유지력이 저하될 경우에 보강하는 방법으로 Tele-Fit, GES friction renewal, FGP friction fit system, activating pliers 등을 이용하고 있다. 하지만 이 방법들 또한 유지력이 문제될 경우에 임시방편인 일시적인 방법이지 영구적인 유지력 보강법이라고 하기에는 한계가 많다(그림 1).


Arch-Friction Soft는 6개의 칼라(white, green, blue, yellow, red, violet)로 구분되어 있으며, 내외관의 유지력 정도에 따라서 교체하여 장기적으로 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코너스크로네 덴처의 유지력 저하에 따른 기능성과 심미성에 문제없이 임상적용 범위를 넓일 수 있다(그림 2, 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