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과산출의 기능만 해오던 심평원 평가자료가 변한다. 정부의 공공데이터 개방정책에 따른 보건의료 빅데이터에 따른 것이다.

심평원의 평가자료 청구 DB엔 상세 진료와 처방내역, 진찰료, 마취료, 주사료 등이 포함된다. 이를 통해 생산되는 빅데이터는 연간 14억건이나 된다.

뿐만 아니라 현황신고 부분에선 요양기관으로부터 신고받아 등록되는 정보와 시설, 인력 그리고 임상진료정보 등의 방대한 자료들이 등록되어 있다.

심평원은 지난 2일 연구 성과에 대해 발표, 토론하는 심포지엄을 가졌다. 방명록엔 종합-대학병원와 개인의원 의사, 종사자, 제약회사 연구원들의 이름이 적혀있었다. 심지어는 한방분야서도 자리를 차지했다. 허나 치협을 비롯한 치과계 종사자는 단 한 명도 참석하지 않았다.

물론 이번 심포지엄의 발표서 치과와 관련된 내용은 없었다. 하지만 심평원이 집계한 자료 중 적어도 의료 자원과 비급여 진료비의 정보엔 치과현황이 게재돼 있었다.

심평원 관계자도 “지난 2011년 이후 치과와 한방은 별도 DB 구축을 위해 제외한 상황”이라며 “특히 치과의 경우 날이 갈수록 청구와 함께 공개요구 건수가 증가하고 있기 때문에 필수”라고 전했다.

허나 치과계선 보건의료 빅데이터에 대해 크게 관심이 없다. 단순히 결과 산출이 아닌 향후 타 진료과와의 영역다툼에서도 중요한 지표가 될 수 있음에도 말이다.

심평원 관계자도 “치과계 단체에서 먼저 접촉을 해오진 않은 상황”이라며 “치협이나 분과별 학회와 접촉해 단계별로 별도의 디비를 구축할 계획이지만 어느 곳과 접촉해야 할지 모르겠다”고 말했다.

접촉이 전혀 이뤄지고 있지 않다는 뜻이다. 매번 그래왔듯 소잃고 외양간 고치는 일이 더 이상 일어나선 안된다.

저작권자 © 덴탈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