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해도 괜찮다’는 회원인식 심각한 상황
비회원 위한 홍보방안 마련에도 적극 나설때

치과기공사 면허신고율이 최하위라는 불명예를 얻게됐다. 국시원이 지난 5월에 발표한 ‘의료기사 등 면허신고제 추진현황’을 발표했다. 그에 따르면 지난해 6월 말까지 집계한 면허신고 대상자인 3만 2천여명 중 면허신고를 완료한 이는 2천여명을 간신히 넘겼다.

보수교육 면제나 유예신청자가 700여명 임을 감안했을 때 6.5%에 불과하다. 총 면허등록자가 1만 1천여명이나 적은 의무기록사보다 1.3%나 뒤진 것이다.

올 초 의료기사 등의 면허가 일괄신고가 시행된지 4개월여가 지난 시점임을 감안하더라도 속도가 매우 더디다.

로컬선 임의가입으로 인한 비회원의 치기협 가입 부재를 가장 큰 이유로 꼽았다.

치과기공사는 타 의료기사 직군 중 유독 회원 수가 낮은 편에 속한다. 총 면허취득자가 3만 2천명에 이르지만 실제 회원은 1만여명에 불과하다. 회비 장기미납이나 여타 사유로 회원의 의무를 다하지 못하고 있는 이들까지 더한다면 한참 부족한 수준이다.

치기협에 가입하지 않고, 기공물을 제작중인 이들이 회원 수에 육박할 정도다. 이들은 실질적으론 면허신고에 대한 직접적인 전달을 받지 못한다. 그 문제 때문에 시간이 지나더라도 신고율이 대폭 상승할 수 있을지 의문을 가진 이들이 많다.

복지부선 위임한 치기협에서 가입 여부를 따지지 말고, 신고할 수 있도록 했다. 하지만 치기협선 회원은 물론 비회원들에게 적극적으로 어필하지 못하고 있다. 단지 치기협 홈페이지나 기관지 등의 수단을 활용해 소임을 다했다고 핑계를 댈 뿐이다.

보수교육점수 기회 부여도 큰 문제다. 집체교육 위주인데다 치기협과 시도지부, 지난해부터 물꼬를 틀게 된 분과학회서 개최한 학술행사 외엔 보수교육점수를 부여하지 않는 것이다.

A치과기공사는 “치과의사 단체 학술대회에 참가할 때마다 느끼는 것이지만 치과위생사는 몇 점이라도 보수교육점수가 부여된다”면서 “기공사가 직접 연자로 나서기도 하고, 연관 강의들이 몰린 세션이 있는 경우도 많은데 왜 우리는 단 1점조차 받질 못하는 것인지 알 수가 없다”고 퉁명스럽게 내뱉었다.

문제는 단체간 이해관계가 맞물려 있는 점수배정방식도 확실하게 정리되지 않았다는 것이다. 이런 불편한 상황들로 인해 몇 점이 모자라 신고를 완료하지 못한 경우도 태반이라는 지적이 끊이질 않는다.

비회원도 문제지만 회원들의 인식도 여전히 문제다. 

그도 그럴 것이 면허신고를 시작한지 6개월이 지난 지금도 면허신고 방법을 묻거나 존재자체를 모르는 경우가 수두룩하기 때문이다. 집안 단속조차 제대로 이뤄지지 않고 있는 것이다. 특히 지방으로 갈수록 신고율은 크게 떨어졌다. 서울이 566명으로 가장 높은 신고율을 보였고, 이어 경기도가 324명, 부산은 174명이 신고했다. 이외엔 남쪽으로 지역이 내려갈수록 점차 감소하는 모양새를 보였다.

협회는 면허보유자 권익을 대변하는 단체다. 지금의 상황이 장기화 될 경우 면허보유자 대부분이 피해를 입을 것은 불 보듯 뻔하다.

시간이 많이 남은 듯 하지만 실상은 그렇지 않다. 보다 적극적인 대책마련에 나서 피해를 입는 경우를 줄일 필요가 있다.

저작권자 © 덴탈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