덴처, 임플란트 70세 이상 대상확대로 이슈 재부상

복지부 13일까지 시행령 의견수렴
기공계 “정당한 우리 몫 찾자” 목소리 커

덴처와 임플란트 급여화가 올 7월부터 70세 이상으로 대상이 확대된다. 실상 지난해 덴처와 임플란트에 대한 관심과 효과는 치과계서 극히 미미했다.

‘이미 할 사람은 다했다’, ‘본인부담금이 너무 높아서 누가 적극적으로 하겠냐’ 등의 반응이 개원가엔 팽배했다. 이런 분위기와 달리 기공계는 애초부터 큰 관심을 보이지 않았다.

지난 2012년 완전틀니 급여화 시행 당시 기공수가가 별도로 명시돼지 못한 상황을 겪어봤기 때문이다.

하지만 오는 13일까지 의견을 수렴키로 결정한 이번 대상확대 시행령에 기공계가 주목하고 있다. 기공료 고시에 대한 염원을 버릴 수가 없는 것이다. 이는 기공료 미수금과도 크게 밀접해 있기도 하다.

일반과 보험을 구분하지도 않고, 기공물을 보내는 악성 치과들도 존재하기 때문에 기공소는 전전긍긍 속만 태우고 있었던 것이다. 크게 증가한 횟수와 금액에 비해 보험 기공물을 단 한차례도 받아보지 못한 기공소도 있을 정도이기 때문이다. 

이에 심평원이 발표한 2012~2013년 완전틀니와 부분틀니 요양급여실적 최근 추이에 집중할 필요가 있다.

지난 2012년 시작된 완전틀니의 경우 진단과 치료계획부터 의치장착과 조정 등이 이듬해인 2013년까지 모두 2배 이상 증가했다.

지난 2013년부터 시행된 부분틀니도 진단과 치료계획이 5만 7천여건, 금액은 86억여원에 달한다. 의치장착과 조정도 4만 8천여건, 161억여원 가량 된다.

기공계선 “파이가 확충됐는데 돌아와야 할 기공료는 어디로 증발했느냐”고 분통을 터뜨린다.

현재 치기협선 심평원이 연구한 2011년도 노인틀니 급여적용방안에 기공비용 조사결과를 명시해 줄 것을 복지부에 건의한 상황이다.

하지만 일선 기공계선 살짝 기대를 하면서도 회의적인 반응이 만연해 있다.

A소장은 “요즘은 누구라도 기공소 허리띠 졸라매는 방법이 생활화 돼있다. 미수가 쌓이기만 하고, 입금이 되질 않으니 자살이라도 하고 싶은 심정”이라며 “솔직히 지금처럼 대출과 마이너스 통장, 그리고 제 2금융권에서도 돈을 융통하는 입장에선 정당한 우리 몫을 찾는 것인데도 기대가 클 수밖에 없다”고 하소연 했다.

B소장도 “협회에서 진정성을 갖고 회원들에게 요청하면 요즘 같은 시국에 누구라도 도와줄텐데 지금까진 그런 모습을 볼 수 없었다”며 “행정적인 쇼를 연출하는 모습조차 보이질 않으니 이번에도 기공료 고시는 물건너 간 것 같다”고 고개를 저었다.

저작권자 © 덴탈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