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워드로 전망하는 2015 업계

치산협 재정건전성 확보도 시급한 과제

회무 정상화
현 치산협 집행부는 중대한 기로에 서 있다. 지난 연말 IDEX 개최 과정에서의 잡음과 주간조선 SIDEX 오보 대치과정서 내우외환에 휩싸였다. 적절한 대처로 위기를 슬기롭게 넘기는 지도력이 요구되는 시점이다.

당장 치과계 유관기관과의 관계개선도 풀기 힘든 과제다. 지난 행보로 인해 치과의사단체와의 사이에 깊게 패인 감정의 골을 복구하는 것이 쉽지만은 않을 전망이다.

그간의 회무방식에 실망한 기색이 역력한 많은 회원들도 보듬어야 한다. 낮은 자세로 회원들의 의견에 귀를 기울이고, 필요하다면 발로 뛰며 회원들과 적극적인 대화도 시도해야 한다. 이 같은 노력을 통해 회무 추진동력을 얻는 것이 선결과제다.

▲ 지난해 열린 IDEX 2014 테이프커팅식 모습. 치산협 주최 전시회는 들이는 노력과 쏟아지는 기대에 비해 늘 아쉬운 모습을 보여왔다. 올해도 업계가 고민해야 할 중요한 과제다. 치산협 재정건정성 확보와 업체 전시부담 경감을 위해서라도 올해만큼은 목표를 꼭 달성하길 바래본다.

재정건정성 확보
지난해 총회 당시, 치산협 재정에 대한 우려가 가시화됐다. 재정확보를 위해 야심차게 기획했던 IDEX도 기대만큼의 성과는 거두지 못했다. 올 회무를 추진할 만한 충분한 재정이 확보되어 있는지도 의문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선 저조한 회비납부율 문제부터 정리해야 한다. 많은 회원들이 회비를 납부하지 않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유령회원을 과감히 정리하고, 내실을 기하는 선택도 고심해볼 만하다.

또 지금의 재정위기는 거슬러 올라가면 회관건립기금 모금 당시 실책에서 자유롭지 못하다. 당시 회관건립기금으로 평생회비를 대체했다. 이에 충실히 회비를 납부하며 치산협 재정에 크게 기여해오던 많은 회원들이 평생회비를 해결했다. 사실 이 조치가 지금의 재정위기에 큰 몫을 차지하고 있다. 필요하다면 이를 되돌리려는 노력도 고민해봐야 한다. 실책을 깨끗하게 인정하고 사과의 뜻을 표한 뒤, 다시 회비를 받는 방안도 해결방법이 될 수 있다.

허가절차 간소화
지난해 치과의료기기 허가절차가 강화됐다. 동질성 평가를 받아도 임상시험을 또 받아야 하는 상황이 됐다. 허가절차도 더욱 복잡해지고, 등급별 심사항목도 늘어났다.

번거로워진 절차도 문제지만, 업체 입장서 더 심각하게 피부에 와닿는 부분은 허가비용이다. 늘어난 비용만 수천만원대다. 많은 업체들이 허가비용을 감당하느라 허덕이고 있다. 특히 영세한 규모의 업체들은 신제품을 출시하는데 큰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에 많은 회원들이 치산협을 향해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마련을 촉구하고 있다. 담당 부처와의 적극적인 소통을 통해 업계의 어려움을 알리고, 보다 간소화된 허가절차를 함께 모색하기를 기대하고 있다. 치산협도 이 같은 어려움을 인지하고 노력을 기울이고 있지만, 아직 명확한 해결책은 없는 상태다. 분발이 요구되는 시점이다.

IDEX 2015
재작년 야심차게 준비했던 KDS와 지난해 국제덴탈엑스포를 기치로 개최됐던 IDEX 모두 ‘반쪽짜리 성공’이라는 성적표를 받았다. 가능성은 확인했지만, 당장의 성과는 부족했던 것이 사실. 많은 회원들이 거듭되는 운영미숙에 실망한 것도 고민거리다. 당장 올해 치산협 주최 전시회가 어떤 모습으로 열릴지, 또 얼마만큼의 성과를 거둘 수 있을지도 예측하기도 어렵다.

하지만 업계가 주도하는 전시회의 필요성은 더 절실해졌다. 특히 치과의사단체 주최로 열린 여러 전시회의 무성의한 운영에 실망만 쌓였던 지난해를 반추하면 더욱 그렇다.

IDEX을 이어가든, 또 다른 이름으로 정리되든 중요한 것을 놓쳐선 안 된다. 계속 단점으로 지적됐던 접근성 문제를 해결하고, 치과의사가 참여할 수 있는 동인을 마련하기 위한 방안을 진지하게 모색해야 한다. 장기적인 비전제시와 꼼꼼한 준비도 필수다. 이번엔 반드시 성공하는 업계 주최 전시회를 볼 수 있길 기대해본다.

유통질서 확립
그간 문제가 됐던 불법재료 유통문제는 아직 해결됐다고 말하긴 이르지만 많이 줄어든 것도 사실이다. 업계의 자정노력이 성과를 거둔 지점이다. 지난해 이뤄진 대체재를 개발하기 위한 노력과 일부 재료의 재허가도 숨통을 틔웠다.

하지만 온라인을 중심으로 이뤄지는 유통질서는 예년보다 더 혼탁해졌다. 해외 직구, 일부 쇼핑몰의 무분별한 가격 정책으로 많은 업체들이 피해를 봤다.

올 1월부터는 GSP 제도가 시행된다. 유통되는 치과기자재의 경로를 추적하고 관리하기 위한 제도다. 제대로 운영되기만 한다면 불법 유통문제와 질서를 흐리는 일부 업체들이 발붙일 자리를 좁히는 효과가 기대된다.

모두가 정해진 법규를 준수하고, 상생하는 방법을 찾아야 장기불황을 함께 이겨갈 수 있다. 올해는 서로 얼굴 붉힐 일 없이 열심히 일하고 많은 성과를 거두는 해가 되길 기원한다.

저작권자 © 덴탈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