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의 시각

개원가서 인력수급에 대한 문제는 해결의 실마리가 보이지 않는다. 이제는 만성이 되어버린 탓인지 이에 대한 개원의들의 반응도 무덤덤하다.

최근 취재를 위해 방문한 세 곳의 치과서 단 한 명의 치과위생사도 근무하지 않았다. 규모가 작은 ‘동네치과’일수록 인력난이 더욱 심각하다는 것을 직접 경험할 수 있었다.

인상채득, 스케일링 등 보통의 치과위생사가 하는 업무를 개원의가 모두 직접 하는 치과도 있다는 풍문은 접했다. 혹시 그런 치과인가 물었더니 그건 아니었다.

그 중 두 곳 치과선 신입 스탭을 채용하고 있었다. 하지만 면접을 보러 오는 누구도 치과위생사 면허를 취득한 이는 없었다. “비용 때문”이라며 그대로 조무사를 채용하기도 했다.

또다른 치과는 2년 전까지 모든 직원이 치과위생사였다. 하지만 얼마 전 방문했더니 4명 중 2명은 조무사, 1명은 무자격자였다. 그나마 1명은 치과위생사로 유지되고 있어 체면치레는 하고 있는 셈이었다.

당초 지난해 5월 의기법 시행 2주일도 채 남기지 않은 시점서 2년의 계도기간을 운영키로 복지부를 비롯한 치협, 치위협, 간조협이 극적으로 합의를 한 바 있다.

당시 합의는 의기법상 업무범위를 넘어섰을 시 곧장 민원을 넣기보단 행정지도로 끝내고, 치과서 가급적 치과위생사 고용을 확대하는 선에서 마무리 되었다.

문제는 여러차례 유예기간을 거쳤음에도 1년여 지난 현 시점까지도 이처럼 적극적인 움직임이 없다는데 있다.

이제 남은 기간은 고작 1년도 채 안된다. 막바지에 또다시 각 단체선 어떤 합의점을 도출해낼지 알 순 없다. 하지만 분명한 대책안을 마련하는 것이 옳다.

결국 1차 피해자는 개원가, 최종 피해자는 환자다. 물론 현 시점서 봤을 때 조무사는 훌륭한 보조인력이다.

하지만 현 상황에 안주해 무덤덤한 분위기가 이어지는 것은 파생될 문제를 외면하는 것밖에 안 된다.

저작권자 © 덴탈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