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의 시각

여전히 보수교육 점수 유무에 따라 학회 학술대회의 희비가 갈리고 있다. 인준학회만 보수교육 점수를 부여할 수 있는 현행 제도 하에선, 비인준 학회는 인준에 매달릴 수밖에 없다. 그래서일까, 지난해부터 인준을 준비해온 학회가 무려 6곳에 달한다. 그중 이번에 인준을 신청한 학회는 5곳.

하지만 이들 다섯 학회 중 인준안이 상정된 학회는 단 한 곳뿐이다. 나머지 네 학회는 학회활동 평가기준 항목에서 60점 이상을 획득하지 못했다. 결과만 놓고 보면 나머지 네 학회는 충분한 점수도 확보하지 못한 채 성급하게 인준안을 제출한 꼴이 됐다.

이에 인준이 물 건너간 몇몇 학회선 기자에게 이번 학술위원회의 결정에 대해 격한 불만을 토로했다. “도대체 무슨 기준으로 점수를 책정하는지 모르겠다”고 언성을 높였다. 또 “인준을 위해서는 정치적인 접근만이 답이냐”고 답답함을 토로했다.

하지만 이들 학회들은 정작 학술위원회 측에는 이 같은 강경한 입장을 표하지 못했다. 자칫 이의를 제기했다 추후 재인준 요청 시 불이익을 당하지는 않을까 걱정됐기 때문이다. 임금님에게 받을 처벌이 무서워 대숲에서만 “임금님 귀는 당나귀 귀”라고 외쳤던 이발사를 떠올리는 것이 과한 것일까.

이 같은 해프닝은 학회들 사이에 인준제도와 절차에 대한 불신이 존재한다는 방증이다. 치협 학술위원회의 인준절차 처리과정이 그만큼 매끄럽지 못하다는 의미이기도 하다. 미비점에 대한 충분한 설명과 보완방향을 설명해주었다면 학회가 불만을 드러내진 않았을 것이다.

학회란 어찌 됐든 치의학 발전을 위해 공부하겠다는 치과의사들의 모임이다. 인준여부를 가지고 불필요한 권력을 행사한다는 ‘오해’를 받으면서까지 인준 문턱을 높여둘 필요가 있을까?

저작권자 © 덴탈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