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병원은 어떤 병원
5) 갈등 해소 전략

또한 어떤 치과에서는 경영진은 직원들 간의 분쟁을 조정하기 위해 원내의 공식적인 규칙을 적용한다. 권리에 기초한 전략이 공식적인 방법으로만 사용되어야 할 필요는 없다. 일상의 많은 인간관계에서 이전에 합의된 기대는 분쟁해결을 돕는 한 기준으로 이용될 수 있다.
두 사람이 누가 방청소를 할 것인가로 다투는 경우 그들이 이전에 합의한 순번제를 상기시키면서 갈등을 해결할 수 있다. 이러한 기대가 분쟁을 해결하는데 적용되기 위해서는 몇 가지 조건이 지켜져야 한다. 가) 각 당사자들이 반드시 기대와 정책, 절차, 선례 그리고 분쟁에 적용할 수 있는 규칙을 알고 있어야 한다. 나) 누군가가 예전에 그런 기준이 사용되었다고 주장해야 한다. 분쟁에 관계된 한 개 또는 그 이상의 당사자가 그런 주장을 받아 들여야 하고 또는 결정권을 갖고 있는 사람이 적용 가능한 기준을 사용하도록 명령 또는 지시를 내려야 한다. 다) 그 기준은 한쪽으로 치우치지 않게 그리고 공정하게 문제에 적용 되어야 한다.
⑥ 타협 ― “서로가 한 발자국씩 물러서자” 타협을 하기 위해서는 두 가지 극단적 상황 사이에 조금은 수용할 수 있는 완충적 토대가 마련될 때까지 각 당사자가 함께 노력해야 한다. 이것은 두 당사자가 양쪽의 중간에서 만난다는 것 또는 두 가지 상황 가운데 서로가 받아들일 수 있는 또 다른 점에서 만난다는 것을 의미한다.
⑦ 상호이득을 찾아라 ― “하나를 위한 모두, 모두를 위한하나” 이는 양쪽이 그들의 욕구를 충족시키고 이익을 가져다주는 해결책을 찾기 위해 함께 노력하는 것을 말한다. 이것은 마찰해소의 상호이득 전략 또는 win-win 접근법이라 불린다.
상호이득 전략의 방법을 알아본다면 가) 양쪽이 모두 원하는 것을 얻을 수 있는 방법을 찾을 것 나) 파이의 크기를 늘릴 것- 현재의 자원을 나누려는 시도 대신에 그것들을 증가시키려는 시도로써 창의적 해결책이 도출 될 수 있다. 다) 또 다른 이득을 얻기 위해 하나의 이득을 양보할 것. 라) 자신의 이익과 상대편의 이익 사이에 절충안을 마련할 것.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