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치과위생사협회 회무 파행이 1년이 다 되어 간다. 지난해 서울회 부정선거 의혹으로 촉발된 치위생계 혼란은 파행을 넘어 파국 직전으로 몰렸다.

그나마 오는 3월 9일 대의원총회 일정이 잡히면서 수습국면으로 들어가는 것 같아 다행스럽다. 3월 대의원총회는 새로운 회장선출도 중요하지만, 겉으로라도 양측이 그간의 반목과 갈등을 봉합하고 화합하는 모양새를 연출하는 게 회원들에 대한 최소한의 예의다.

그러나 최근 들려오는 얘기들은 합리적 예측을 비껴간다. 양측이 회장 자리 욕심에 마지막 일합을 겨룰 분위기다.

‘이러고도 경선을 하겠다고’, 혀를 차는 사람들이 많다. ‘이게 치과위생사 리더들의 민낯인지 절망스럽다’고 한숨을 내쉬는 치과위생사들도 있다.

보통 같으면 직능 단체장 선거에 경선이 붙는 것은 자연스러운 현상이다. 하지만 작금의 치위협 상황서 경선은 파국으로 가는 지름길이다. 특히 특정인 중심의 양 파벌이 마주보고 달리는 기차처럼 경선서 부딪친다면, 이는 해결이 아니라 또 다른 분란의 시작일 뿐이다.

치위생계 밖 반응도 싸늘하다. 치과의사 뿐만 아니라 치과기공사, 기재업체 관계자들조차 ‘정말 독하다’는 관전평 일색이다.

치위협 회장선거 후보등록이 내일(25일)부터 시작된다. 그럼에도 경선 채비에 나선 양쪽 어느 누구도 출마선언을 하지 않고 있다. 이는 비단 상대방에게 먼저 패를 까지 않겠다는 선거전략 의미보단, 서로 이 상황을 ‘부끄럽게’ 느끼고 있기 때문일 것이다.

치위협 사태의 문제점은 크게 두 가지만 개선하면 된다. 먼저 임상치과위생사들의 회무참여를 제도적으로 확대하는 일이다. 현재 회원 90%는 임상현장서 근무하는 치과위생사들이다. 반면 대의원이나 지부장 다수는 공직에 있는 치위생과 교수들이다. 여기서 균형점이 깨졌다.

치위협은 회원의 권익을 대변하는 직능단체다. 따라서 90% 이상 차지하고 있는 임상치과위생사 중심의 회무가 상식일 것이다. 그러나 현실은 교수들이 주요요직을 독차지하고 회무를 좌지우지 하는 모양새다.

최근 치위생계는 지난해 치른 국시 합격률을 놓고 의견이 분분하다. 매년 90% 내외를 기록하던 합격률이 80%로 밀렸다. 유독 이번 졸업생들만 공부를 안 해서 합격률이 낮아진 것인지, 시험 난이도 조절에 실패한 것인지는 알 수 없다.

다만 ‘교수들이 학생 교육은 등한시 한 채 정치에만 매달려 벌어진 참극’이라는 지적도 나온다. 이 역시 객관적인 분석이라고 볼 수는 없으나, 이러한 자조 섞인 말들이 나오는 배경만큼은 되새겨 볼만 하다.

또 다른 문제 해결책은 치위협 회장선거에 직선제를 도입하는 일이다. 치위협은 회원 대다수가 월급을 받는 직장인이다. 그렇다보니 평소 회무에 관심을 갖기가 어려운 구조다. 최소한의 회장선거 투표권을 부여함으로써 관심을 높이는 계기로 삼을 수 있다.

또한 이번 회무 파행 과정서 불거진 특정대학 패권론을 잠재우는 부수 효과도 노릴 수 있다. 어느 선거나 동문회 영향이 크기 마련이다. 동문 후보를 지원하는 행태를 무작정 비난만 하기도 어렵다.

그러나 직선제로 선거를 치르다보면 이 같은 문제는 자연스럽게 가라앉게 된다. 현재 전국의 치위생(학)과는 82개에 달한다. 직선제서는 특정대학 몰표로 회장을 당선시킬 수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오는 3월 9일 치위협 대의원총회서는 양측이 인정할 수 있는 합리적인 후보를 ‘합의추대’하는 방식으로 수습하는 게 급선무다. 이와 함께 직선제 도입과 임상치과위생사들이 제도적으로 회무에 참여할 수 있는 대안마련이 필요하다.

그나마 이러한 수습책이 추락할 대로 떨어진 치위협의 위생과 권위를 회복하는 길이 될 것이다. 


       

저작권자 © 덴탈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