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중위 항의 받고 ‘언중위 결정, 정정보도 아니다’고 일부내용 정정
기관지, 합의보도문 게재시점 유치한 트집으로 또다시 구설에 올라
경쟁후보들 캠프에선 ‘잘 짜여진 각본처럼 박영섭 후보 지원 논란으로 번져’

치의신보가 본지에 대한 왜곡보도를 스스로 인정했다. 치의신보는 본지의 보도대로 언론중재위원회로부터 항의를 받고 일부내용을 수정하는 굴욕을 자초했다.

언중위 요구로 치의신보가 수정한 내용은 크게 두 가지다. 먼저 본지와 박영섭 후보의 ‘합의 보도문’은 언중위 결정이 아닌 당사자 간 합의에 의한 내용이라고 보도내용을 뒤집었다. 당초 치의신보는 합의보도문이 언중위의 강제결정이라는 취지로 보도해 물의를 일으켰다. 이같은 정정은 치의신보 스스로 왜곡보도 사실을 인정한 셈이다.

또한 치의신보는 본지가 보도내용을 ‘정정했다’고 보도했으나, 이 역시 언중위로부터 항의 받은 후 내용을 수정했다. 그래놓고선 지난 24일 보도엔 ‘정정보도라는 단어가 단 한글자도 없다’며 구차한 변명을 늘어놓았다. 그러나 처음 인터넷 기사에는 ‘정정’ 단어를 사용했으며 언중위 항의 이후 내용이 수정된 것으로 확인됐다. 이를 근거로 본지는 치의신보의 악의적 왜곡보도에 대한 법적책임 조치에 들어갔다.

이를 두고 치의신보는 또다시 ‘언중위의 요청으로 일부 단어를 수정했을 뿐’이라고 변명하기에 급급했다. 하지만 치의신보는 언론의 생명이라고도 할 수 있는 ‘팩트’를 호도한 것이다. 치의신보는 ‘본지와 박영섭의 합의 보도문은 언중위 결정이 아니다, 정정보도 역시 아니다’고 자인(自認)했다.

이쯤에서 치의신보에 되묻고 싶다. 치의신보의 애초 제목처럼 본지가 망신을 당한 것인지, 치의신보가 왜곡보도로 인해 오히려 정정하는 망신을 당한 것인지. 상식이 있는 독자라면 누구나 어렵지 않게 판단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럼에도 치의신보는 24일 해명기사를 내보내면서 또 다른 어처구니없는 주장을 펼쳐 체면을 구겼다. 우선 본지와 박영섭의 48시간 게재 합의는 조정합의서가 아니라 합의보도문이다. 치의신보는 합의 보도문의 게재시점(토요일 23시 59분)을 문제 삼았다. 그러나 이 역시 치의신보의 무지에 의한 유치한 트집에 불과하다.

본지와 박영섭은 지난 19일 협의과정서 23일 자정까지 48시간 합의 보도문 게재를 합의했다. 이에 따라 시간을 역산하여 토요일 자정에 게재를 시작하게 된 것이다. 이는 당사자 간 합의이기도 하지만 20일 언중위 관계자와 사전에 상의하여 시점을 정한 것이다.

따라서 이 사실을 누구보다 잘 알고 있는 박영섭 후보 측에서 치의신보에 잘못된 정보를 주어 의도적으로 왜곡보도를 유도한 게 아닌가 하는 의구심이 든다. 또한 박영섭 후보는 치의신보의 악의적인 왜곡보도를 기다렸다는 듯이 선거기사를 담당하는 전문지 기자들에게 보냈다. 이는 마치 처음부터 잘 짜여진 각본아래 펼쳐지는 언론플레이라는 의심을 불러 일으키기에 충분한 대목이다.

언론중재위원회는 기본적으로 중재기관이다. 당사자간 어느 한쪽이라도 합의에 응하지 않는다면 그것으로 중재는 결렬되고 만다. 그러나 본지는 선거라는 특수성을 고려하여 박영섭 후보의 합의보도문 게재 제안을 받아 들였다. 따라서 합의보도문은 ‘박영섭 후보가 이러한 내용을 알려 왔습니다’라고 작성이 된 것이다.

그럼에도 치의신보는 마치 ‘본지가 언중위 결정으로 정정보도를 게재한 것’이라고 악의적으로 왜곡했다. 이로 인해 언중위 조사관으로부터 항의를 받고 기관지가 그 내용을 수정하는 망신을 자초한 것이다. 이후에도 기관지는 반성은커녕 ‘언중위 요청으로 단어 몇 개 수정했다’고 궤변을 늘어놓고 있어 또다시 빈축을 사고 있다.

또한 경쟁후보들 캠프에선 이 같은 기관지 치의신보의 왜곡보도에 크게 분노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그 이유는 기관지가 집행부 후보인 박영섭 부회장을 도와주기 위해서 의도적으로 사실을 왜곡한 게 아니냐는 의구심서 출발하고 있다. 상황이 이쯤되자, 이미 출사표를 던진 경쟁후보들 캠프에선 ‘잘 짜여진 각본처럼’ 박영섭 후보 지원 논란으로 번지고 있다.

치의신보는 복수의 후보캠프에서 ‘기관지 개혁’ 공약이 왜 나오고 있는지 곰곰이 자문해 볼 이유가 있다.

한편 본지가 치의신보 왜곡보도에 대한 비판기사를 내보내고 언중위 항의로 일부내용을 수정한 후 기관지 편집국장은 무슨 이유에서인지 수차례 본지 발행인에게 전화접촉을 시도해 왔다.

 

저작권자 © 덴탈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