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불거진 급여와 비급여 표기를 두고 치과계가 전운이 감돌고 있다. 사건의 발단은 보험덴처와 임플란트에 대한 기공물 제작의뢰서에 급여 표기를 골자로 한 치기협 김춘길 회장의 인터뷰로 시작됐다.

치협은 메디컬 전문지 인터뷰 게재 후 번개불에 콩볶듯 바로 반박보도를 냈다.

해프닝으로까지 비쳐지고 있는 치협 반박보도문이 되려 기공계 단합을 부추기면서 사건을 키우고 있다.

정당한 반론이야 누구라도 할 수 있는 권리라고 하지만 이유로 내세운 일부 사항들이 사건의 요지와 동떨어져 있을 뿐 아니라 역으로 치과의사 본인들을 호도하고 있다는 점이다.

일부 소장들은 “유관단체장들과의 회의에선 불성실한 출석율을 보이면서 제대로 작성되지도 않은 반박보도는 빠르다”며 “지도치과의사제도가 거기서 왜 나오며, 급여와 비급여에 대한 사항도 제대로 이뤄지지 않고 있는데 제대로 화합을 이루고 있는 것이 맞냐”고 조소를 금치 못했다.

치기협은 현재 대국민 홍보위원회를 가동, 국민신문고를 이용해 민원제기할 것을 독려하고 있다.

물론 많은 치과서 제 가격으로 기공물을 납품받는다. 하지만 미수, 끝자리 떼고 결제하기 등은 개원가서 적지않게 이뤄지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특히 기공계는 본인들에게만 적용되고 있는 시장논리가 어이없다는 반응이 지배적이다. 그도 그럴 것이 치협은 그동안 의료영리화 반대, 1인1개소법 합헌 등 자본에 움직이는 시장논리를 그토록 반대해왔다. 하지만 유독 기공계에만 통용되는 시장논리는 무엇인지 궁금하다.

저작권자 © 덴탈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