턱관절협회 춘계학술대회서 강조

턱관절협회(회장 김수관) 2015년도 춘계학술대회가 지난 21일 세종대 광개토관 15층 소극장서 개최됐다.
‘Office based TMD treatment: From Diagnosis to Treatment’를 주제로 한 이번 대회는 총 8명의 연자가 나서 내실있는 강의를 펼쳤다.

김수관 회장은 “이번 대회는 각 분야의 저명한 연자를 초빙해 턱관절 질환의 가장 기본적인 진단에서부터 실전 임상에서 활용할 수 있는 치료법을 총망라 했다”며 “턱관절치료가 인기가 많아진 만큼 한의계나 정형외과 등 타 진료과에서 치료가 이뤄지고 있다. 우선 우리 치과계 내부에서 저변확대가 절실하다”고 강조했다.

이부규 부회장도 타 진료과서의 일회용 스플린트, 퍼티 등 편법을 질타했다.

▲ (사진 왼쪽부터) 턱관절협회 이의석 법제이사, 양병호 공보이사, 최용현 부회장, 김수관 회장, 이부규 부회장, 김지홍 사무총장.

이 부회장은 “위, 아래 물고있는 턱관절치료의 가장 기본적인 단계인 스플린트도 잘 관리되지 않은 교합 등을 이유로 저작계에 큰 부작용을 미칠 수 있다”며 “자체적으로 장치 교정 등을 주진료로 하는 곳이 많은 수준은 아니지만 세미나 등을 통해 많이 퍼지고 있는 것이 문제”라고 꼬집었다.

대회는 김영준 교수(강릉원주치대 구강내과)가 첫 연자로 나서 측두하악장애 분류와 증상에 대해 소상히 짚었다. 강태인 원장(송파올치과)은 TMJ 진단을 위해 선택할 수 있는 매우 다양한 촬영 방법과 장단점에 대해 설명하며, 턱관절 질환의 영상 소견을 밝혔다.  

최용현 원장(STM치과)은 턱관절 환자에서의 심리적인 고려사항에 대해 짚었다.

최 원장은 “매우 다양한 요소 중에서도 크게 두가지 요인으로 분류할 수 있다. 첫째는 턱관절 증상에서 시작된 심리적인 요소와 둘째는 심리적인 요인이 턱관절증을 유발시킨 경우”라며 “턱관절치료를 펼치는 의료인은 반드시 심리적인 문제를 지닌 환자들의 특성을 알아봐야 한다”고 설명했다.

안형준 교수(연세치대 구강내과)도 악관절 단순자극, 전기자극, 복합자극과 기타 요법 등을 , 홍종락 교수(삼성서울병원 치과)는 측두하악근육관절장애의 다양한 약물적 처치에 대해 풀어냈다.

이어 김성택 교수(연세치대 구강내과)는 ‘Trigger point injection in chronic muscle pain and boulinum toxin injection in chronic migraine’을, 김철훈 교수(동아대병원 치과)는 손쉬운 턱관절 세정술의 다양한 방법을 풀어냈다.

마지막 강의는 이부규 교수(아산병원)가 연자로 나서 진행성 턱관절 장애환자의 외과적 치료의 최근 경향에 대해 소개했다.

저작권자 © 덴탈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