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기협, 지부회 비회원 차별논란 수면 위로 부상
기공사 무관심이 큰 문제, 자칫 면허정지 대혼란 우려

올해부터 의료기사 직군에도 본격적으로 시행된 면허신고제. 하지만 의료인 면허신고제 도입 초기 당시완 많이 다르다. 신고 시작 반년이 다 되도록 잘못된 정보가 떠돌고 있다. 이와 함께 ‘나완 상관없는 일’이라는 무관심으로 어려움을 겪고있는 것이다.

대부분의 소장과 기사들은 현재의 상황들을 치기협 탓으로 돌리고 있다.

A소장은 “매 집행부마다 그래왔던 사항이지만 정치적 이권에만 관심있고, 회원들에 대한 배려가 전혀 없다”며 “복지부나 타 유관단체에선 면허신고에 대해 민감한 것 같은데 유독 우리 협회에서만 너무 느긋하게 대처하고 있는 것 같다”고 불평을 늘어놨다.

이어 A소장은 “각 지부회들과 사이가 좋질 않아서 그런 것인지 다른 이유가 있어서인진 모르겠지만 참석한지 1~2개월이 지나도록 지부회 학술대회 평점 등 보수교육 관련 사항이 홈페이지에 뜨지도 않았다”고 관리부실 의혹도 제기했다.

특히 비회원들의 면허신고나 정보 자체에 대한 접근이 용의치 않은 것도 큰 문제다. 정보 전달은커녕 잘못된 내용들이 임상 현장에 나돌고 있는 형태다.

가장 큰 파장이 될 문제론 면허신고 존재 자체를 모르는 상황이다. 회원이 아니기 때문에 ‘비회원은 면허신고 대상이 아니다’는 잘못된 정보전달이다. 회원이 아니라는 이유만으로 올바른 정보를 접하지 못하고 뜬소문만 들은 탓이다.

B기공사는 “치기협 가입을 하지 않고, 제대로 된 안내를 받지 못했는데 안해도 되는 것 아니었냐”고 되물었다.

비회원에 대한 차별도 면허신고를 가로막는 문제거리로 급부상한 상태다. 치기협은 차치하더라도 지부간 공조가 이뤄지지 않은 탓이 크다. 그간 회비를 꾸준히 납부한 회원과의 형평성 문제로 비회원들에 대한 차별이 생길 순 있다. 다만 면허신고에 있어 이같은 알력이 생겨선 결코 안된다. 지난해 앞서 면허신고제가 시작된 치협도 회비 장기미납자 등에 대해서 협회, 지부 단위로도 신고를 도왔다.

이같은 상황에 대해 각 지부회선 “오해”라라고 항변했다.

C 지부 관계자는 “미가입자들이 면허신고제를 문의하는 등 지부나 협회와 접촉하게 되면 회원가입의 가능성도 높일 수 있어 일석이조”라면서, “차별할 이유가 없다”고 잘라 말했다.

실제 치기협 회원가입 증가율이다. 면허신고 도입이 논의된 2013년부터 지난해까지 2,386명의 기공사가 제도권 내로 안착했다. 이번 면허신고가 수월히 이뤄지기 위해선 면제자를 제외하곤 지난해 보수교육점수 8점을 이수해야 한다. 현재 치기협선 온라인 보충보수교육을 통해 점수부여를 통한 회원들의 피해를 막고자 하고 있다.

또 D 지부 관계자는 “오히려 미가입자들에게 면허신고제를 독려하고, 도와주고 싶다”면서도 “현실적 어려움이 있다”고 하소연했다.

그는 “면허신고가 도입될 당시 치기협을 비롯한 각 지부회에선 회원배가가 이뤄질 것이란 기대감이 컷다”면서도 “하지만 면허를 취득한 기공사들의 데이터 베이스를 국시원이 틀어쥐고 있어 어느 동네에 누가 기공소를 오픈했는지조차 알 수 없는 상황”이라고 토로했다.

그에 비해 회원들의 반응은 미온적이다. 회원들의 무관심도 크게 한 몫하는 것이지만 치기협의 보다 체계적인 면허신고 시스템과 홍보가 절실하다.

저작권자 © 덴탈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