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부임원 ‘피의자 신분 전환설’ 돌면서 무력감 고조

15일엔 3차 압수수색 … 성금 제공업체 조사도 이어져

치과계가 무력감에서 좀처럼 헤어나오지 못하고 있다. 치과계 맏형 격인 치협의 검찰수사가 장기화되면서 활력이 크게 위축됐다는 평가다.

한때 치협의 입법로비 수사는 큰 고비를 넘긴 것처럼 보였다. 그러나 최근 또다시 검찰의 압박수위가 높아지고 있다는 분석이 많다. 지난 15일엔 치협 김세영 전 회장과 김영만 부회장(전 충남지부장), 법률대리인 역할을 담당했던 이성재 변호사 등을 상대로 검찰의 대대적인 압수수색이 이루어졌다.

아직도 치협 임원들의 소환조사는 이어지고 있다. 최근엔 일부 전현직 임원들이 피고발인 자격서 ‘피의자 신분’으로 검찰조사를 받을 것이란 얘기마저 들리고 있다. 또한 기업형 사무장치과 척결을 위해 치협에 성금을 제공했던 5개 업체 사장들도 이미 참고인 자격으로 검찰조사를 받았다. 업계에선 ‘검찰의 칼끝이 업체로도 향하지 않을까’ 전전긍긍하고 있다.

그럼에도 치협이 취할 수 있는 옵션은 그리 많아 보이지 않는다. 이러한 현실이 치과계가 무력감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이유이기도 하다. 일부에선 ‘치과계가 좀더 강하게 검찰수사에 대응해야 한다’는 주장도 나온다.

그러나 방법이 마땅치가 않다. 지난 달 지부장협의회 이름으로 검찰수사에 항의하는 내용의 성명서 발표가 전부다. 지금까진 ‘검찰수사를 지켜보자’는 대응이 최선인 듯 조사에 항의하는 액션은 전무하다. 과거 ‘릴레이 1인시위’로 대응했던 공정위 5억원 과징금 부과때와는 사뭇 다른 분위기다.

물론 공정위 과징금 부과와 검찰 수사는 근본적으로 질이 다르다. 그러나 차원이 다르다는 사실만으론 치과의사들의 무기력증을 개선시킬 수 없다. 검찰이 직능단체 대상으로 수사할 때 이처럼 전방위로 압박에 나선 사례가 있는지 조차 의문스럽다. 그만큼 검찰의 치협에 대한 압박수위 강도는 매우 높다.

향후 검찰수사 후폭풍이 어디로 튈지는 아무도 알 수 없다. 이로 인한 치과계 내부의 갈등이 폭발할 가능성 또한 섣불리 배제하긴 어렵다. 이미 치협 회무는 사실상 답보상태에 빠졌다. 하루 빨리 임원들이 무력감서 벗어나 컨트롤 타워 역할을 수행해야만 하는 이유다.

이 상태가 길어진다면 필연적으로 치과계 내부갈등이 불거질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저작권자 © 덴탈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