각 학회 인정의제 발전방향 모색 나서 … 엄정한 자격관리와 홍보 플랫폼 마련이 관건

2. 인정의제 발전방향 모색할 때

전문의제 논란이 지리하게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각 분과학회서 배출된 인정의도 함께 화두에 올랐다. 전문과목만 진료를 볼 수 있는 전문의제도완 달리 효과적으로 활용하면 인정의제는 그에 못지 않은 효과를 볼 수도 있을 것이라는 기대감도 크다. 하지만 현재의 인정의제 시스템이 개원가선 단지 약력에 한 줄 추가하는 것에 불과하다는 평이 많다. 바람직한 발전방향을 함께 모색할 때다.

▲ 인정의제도를 시행중인 대부분의 학회들은 “매우 엄격한 자격요건을 갖춰야 취득과 갱신이 가능하다”고 설명한다. 대부분의 치과의사들은 인정의자격 취득을 위해 필기시험이나 증례 제출 등과 함께 구술고시 등의 깐깐한 시험도 합격해야 한다. 사진은 인정의제도의 업그레이드 버전이라 불리는 우수회원제도를 효과적으로 활용해 뜨거운 호응을 얻고 있는 KAOMI 구술고시 모습.

전문의제 해결이 난항을 겪고 있다. 내 치과 옆의 전문의가 달갑지 않은 탓이다. 11번째 전문의라는 장고 끝 악수는 개원가의 반대 속에 파국을 맞이했다. 전문의제는 결국 원점으로 돌아왔다. 이제 소송결과만 기다리고 있는 상황이다. 이대로는 모두가 만족할 만한 결론을 도출하기가 어렵다.

이에 학계와 개원가 일각선 인정의제를 전문의제의 새 해법으로 보고 가능성을 타진하고 있다. 현재까지 10개 분과학회서 배출한 인정의는 9천 2백여명. 면허를 취득한 전체 치과의사의 1/3에 해당될 정도로 적지 않은 수치다. 11번째 전문의보다는 인정의가 더 현실성이 있지 않겠냐는 논리다. 학술적인 권위도 충분히 뒷받침될 수 있다. 단, 이를 위해선 대국민 홍보, 엄격한 질 관리 등 많은 전제조건들이 갖춰져야 한다.

A 원장은 “눈에 잘 보이는 치과의사 약력이 길수록 환자들의 동의율은 높고, 진료 컴플레인이 비교적 낮다”며 “그러다 보니 나도 현재 3개 인준학회에서 인정의 자격을 취득했다”고 털어놨다.

또한 “인정의 자격은 많은 치과의사가 갖고 있는 자격인데다, 환자들도 잘 알지 못해 약력 추가 말고는 마케팅에 적극 활용하긴 어렵다”면서도, “공감대가 형성되고 체계화시키면 전문의 못지않은 자격이 될 가능성은 충분하다”고 덧붙였다.

물론 질 관리는 각 학회서 피할 수 없는 고민거리다. 한 번 인정의를 취득한 후엔 학회활동에 소홀해지거나 아예 발길을 끊는 경우도 다반사다. 학회의 순수한 인정의제도 도입 취지완 달리 유령 인정의들이 생겨나기도 할 정도다.

인정의제도 활성화에 긍정적인 입장을 비친 B 원장은 “허위는 물론 갱신기간이 지났음에도 인정의 자격을 재취득하지 않고, 지속적으로 사칭하는 등 악용하는 사례는 인정의제도 발전을 위해 우선 솎아내야 할 문제”라고 제안했다.

이처럼 취득 후 구속력이나 여러 학회서 동시취득이 가능하다는 변별력의 부재는 학회마다 심각하게 고려해보아야 할 부분이다. 

학계도 인정의제 발전가능성에 주목하면서도 우려의 목소리도 감추지 않았다.

C 학회 관계자는 “인정의제의 역할이 증대되면, 인준 학회의 위상 제고와 학술활동 활성화 등 긍정적인 측면이 많다”면서도, “그러려면 엄격한 자격관리와 전문성을 갖출 수 있을 만큼 엄정한 임상교육이 뒷받침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현재 많은 학회들이 지속적인 인정의 자격 수준관리와 함께 인정의제 활용방안을 고심하고 있다”며 “엄격하게 관리되지 않았으면 이미 학회마다 인정의가 수천명씩 배출돼 있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실제 많은 학회서 인정의제 활용성을 높이기 위한 작업에 착수했다. KAOMI의 우수회원제도가 좋은 예다. KAOMI 홈페이지엔 전국 555명의 우수회원 명단과 치과 위치가 업로드 되어 있다. 이는 임플란트 관련 연관검색어로 검색도 가능하다. 회원들에게 자부심을 주고, 또 환자에게도 우수회원을 널리 알리려는 학회 측의 노력이다.

KAOMI뿐만 아니라, 다수의 학회서 인정의제 정비와 함께, 이를 회원들이 활용할 수 있는 방안 마련에 나선 상태다.

인정의제도 도입의 순수 목적은 학술교육과 임상검증을 통한 전문성 확보다. 하지만 검증된 전문성을 개원가서 활용할 수 있다면, 학술과 마케팅 두 마리 토끼를 잡을 수 있다. 전문의제는 차치하고서라도 효과적인 인정의제 활용방안 모색이 필요한 이유다.

D학회 이사는 “관건은 인정의제 전문성 관리와 환자들에게 알릴 수 있는 플랫폼 개발”이라며 “이는 각 학회는 물론, 치협 학술위원회의 노력도 필요한 부분”이라고 정리했다.

인정의제도가 분야별 전문가를 양산한다는 기본 개념은 지키되 이를 환자들에게도 어필할 수 있다면 최선이다. 학회와 함께, 치협도 이를 고민해볼 필요가 있다.

저작권자 © 덴탈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