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의 시각

여름을 지나 계절은 훌쩍 가을로 접어들었다. 어느덧 추계학술대회 시즌이 돌아온 것이다. 학회마다 학술대회 준비에 여념이 없다. 그리고 그 가을이 되면 가을전어처럼 치협 보수교육 점수 논란이 다시 불붙는다.

적으면 2점부터 많게는 6점까지 치협 보수교육 점수는 참가자들을 불러모으기 위한 무기 중 하나로 자리잡았다. 보수교육 점수에 대한 중요성이 부각되기 시작한 것은 면허신고제 시행 때부터였다. 면허신고제로 인해 한해동안 반드시 이수해야 하는 보수교육 점수가 정해지자 너도 나도 ‘보수교육 점수 따기’에 연연하게 된 것.

보수교육 점수가 학술행사의 승패여부를 결정짓는 주요원인이 되자 보수교육 점수 부여 기준에 대한 불만의 목소리도 함께 높아졌다.

복지부는 점수가 아닌 시간 기준이라는 입장을 견지했지만 치협은 점수라는 기존 원칙을 고수했다. 문제는 그 점수 부여의 기준이 ‘애매~’하다는 것이다.

이틀에 걸쳐 하는 어떤 학회는 2점을 부여받고, 반나절만 진행되는 학회가 4점을 인정받기도 한다. 보다 쉽게 보수교육 점수를 얻고 싶은 치과의사들은 반나절 진행되는 4점짜리 학회로 몰린다.

‘면허신고제’라는 제도 시행의 원래 목적을 감안하면 치과의사로서 의술 직결되는 내용에 대해 보수교육 점수가 부여되어야 할 것 같지만, 현실은 의술보다는 교양함양에 가까운 내용이어도 보수교육 점수가 부여되기도 한다.

학회장들은 공공연하게 “치협이 보수교육 점수로 장사하는 격”이라며 날선 비판을 이어갔지만 치협의 입장은 요지부동이다.

면허신고제 시행으로 보수교육 점수 부여 기준 논란은 몇 년째 이어지고 있다. 하지만 치협에서는 원론적인 대답만 내놓고 있다. 물론 정해진 기준에 따라 보수교육 점수를 부여한다는 원칙은 지켜지는 것이 옳다.

그러나 논란이 이어지고, 비판의 목소리가 계속된다면 논란에 종지부를 찍고, 문제를 해결할 방법은 없는지 고민해야 하지 않을까? 열린 귀, 열린 자세가 아쉬워지는 것은 어쩔 수 없다.

저작권자 © 덴탈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